#: locale=ko ## Action ### URL LinkBehaviour_B1E7472D_917A_3C76_4194_F6CA59405DCA.source = https://www.miryang.go.kr/tur/EgovTourDetail.do?nmtIdx=42&mnNo=10302160000 ## Media ### Title photo_29E00BEC_0C4F_4568_415A_C2C1D3AA3D1E.label = 01_인류의출현 photo_1308CE19_0CB7_5EA8_41A1_A83347CE460D.label = 02_속씨식물(단풍나무) photo_130FEFD7_0CB7_5DA7_419B_E2EA0F26391A.label = 03_스트로마톨라이트_PS0100319101400055800000_0 photo_130F14B9_0CB7_43E8_41A5_5C80027EEED5.label = 04_식물(양치식물_뱀고사리) photo_130FE71D_0CB7_4EA8_41A8_447DC4C1ED55.label = 05_연체_강장동물 photo_130F28BA_0CB7_43E8_4182_9AA7422E9019.label = 06_어류(원시어류) photo_1D52C40D_0CCD_50D6_4144_F50093C111AF.label = 07_절지동물(삼엽충화석대체) photo_130F7C66_0CB7_4298_4172_03CC48BC2EB6.label = 09_연체동물(암모나이트) photo_130F7E3F_0CB7_7EE8_41A4_597D83CF1F6A.label = 10_중생대식물(소나무) photo_1308A289_0CB7_47A8_41A0_6E13D7886361.label = 13_극피동물(불가사리) photo_05508C92_1184_C8E8_41B0_007F6EF52BA6.label = 가락바퀴 photo_05508C92_1184_C8E8_41B0_007F6EF52BA6.label = 가락바퀴 album_1A709170_0B6B_B2C1_4176_83E4C939BF46_0.label = 가례부해 album_1B86A412_0B68_D240_419B_842AEA56B2D9_0.label = 가죽신 album_1B86A412_0B68_D240_419B_842AEA56B2D9_1.label = 각대 photo_D63F29E5_D97C_C6E8_41BF_915954E45682.label = 간돌칼 photo_D63F29E5_D97C_C6E8_41BF_915954E45682.label = 간돌칼 album_238397F8_39BC_8FAC_41C9_E422DF4A9774_0.label = 갈돌 album_238397F8_39BC_8FAC_41C9_E422DF4A9774_1.label = 갈판 photo_B07E9AC3_A41C_E3BD_41A8_A17892C6C21C.label = 감내게줄당기기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0.label = 강복이 새겨진 백자 팔각 청화 복숭아무늬 항아리 album_EE431714_FD66_1D25_41E7_2BCB4D4C2C67_0.label = 격재 손조서선생 문집 photo_2E0CF625_0CB1_CE98_4181_E76FA2D5A0C5.label = 경골어류 album_F2043A61_FD02_3037_41B3_CFC914F4CB40.label = 고려의 충신 박익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label = 고려청자 album_F22F4A38_FD02_7014_41E7_C86B3BB28414_0.label = 고문서(박연 김공 신도비명) album_1B86A412_0B68_D240_419B_842AEA56B2D9_2.label = 관모 album_1B86A412_0B68_D240_419B_842AEA56B2D9_3.label = 관복 album_D4FF445A_D944_4DD8_41EA_C5F04992EF83.label = 구석기 album_1BA1EB4F_0B68_D6DF_41A2_C7E38D0E4EA5_0.label = 귀면 암막새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label = 기증유물(김향)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0.label = 긴목항아리 album_F33CAB88_FD0E_10F4_41ED_991DDE2E66F3_0.label = 깍지 album_EF893B5A_FD67_F522_41D6_451C1B0E3D32_0.label = 낙원동만합고 album_EF893B5A_FD67_F522_41D6_451C1B0E3D32_1.label = 낙주재 현판 album_F2043A61_FD02_3037_41B3_CFC914F4CB40_0.label = 남동장벽_벽화 album_F2043A61_FD02_3037_41B3_CFC914F4CB40_1.label = 남서단벽_벽화 album_EE431714_FD66_1D25_41E7_2BCB4D4C2C67_1.label = 남회당 이이두선생 문집 album_EF893B5A_FD67_F522_41D6_451C1B0E3D32_2.label = 내방간찰-아바님전 album_1A7B94C2_0BB7_4399_41A0_F3B670400B31_0.label = 노백로도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1.label = 다리붙은 긴목항아리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2.label = 다리붙은 항아리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0.label = 당간지주 album_F0B1F100_FD02_11F4_41DE_AB7D80D03B27_0.label = 당초문 암막새 album_D76630C1_D947_C528_41C7_D73E899BD3A9_1.label = 돌도끼 photo_05A51E24_1184_C828_41AF_A1B8304F4849.label = 돌화살촉 photo_05A51E24_1184_C828_41AF_A1B8304F4849.label = 돌화살촉 album_F0B1F100_FD02_11F4_41DE_AB7D80D03B27_1.label = 떡살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0.label = 떡살(격자 무늬)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1.label = 떡살(국화,물고기 무늬)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2.label = 떡살(국화,물고기 무늬)-1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3.label = 떡살(길상 무늬)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4.label = 떡살(길상,국화무늬)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5.label = 떡살(꽃,물고기 무늬)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6.label = 떡살(물고기,대나무 무늬)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7.label = 떡살(부귀명당자손 새겨진 무늬)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8.label = 떡살(사선,국화무늬)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9.label = 떡살(삼태극무늬) album_F0B1F100_FD02_11F4_41DE_AB7D80D03B27_2.label = 뚜껑있는 굽다리 접시 album_D4FF445A_D944_4DD8_41EA_C5F04992EF83_0.label = 뚜르개 photo_2ADD0240_0CB1_C699_4199_1ECCDFADBAC2.label = 레바논 새우화석(Lebanon Fossil Shrimp)-20 album_F0B1F100_FD02_11F4_41DE_AB7D80D03B27_3.label = 말무늬 굽다리 긴목항아리 album_1BA1EB4F_0B68_D6DF_41A2_C7E38D0E4EA5_1.label = 명문 암막새 album_1BA1EB4F_0B68_D6DF_41A2_C7E38D0E4EA5_2.label = 명문기와 편 photo_B26EE336_A414_22C7_41D2_3FF88956F5C0.label = 모사사우루스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4.label = 목걸이(경식) album_EC9CF8D4_FC2B_7395_41C8_474455EB3A47.label = 목상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10.label = 목안 album_D4FF445A_D944_4DD8_41EA_C5F04992EF83_1.label = 몸돌 photo_B74E9430_A41F_E6DC_41D7_EEBD6211A9BB.label = 무안용호 album_1A7B94C2_0BB7_4399_41A0_F3B670400B31_1.label = 묵매 album_EF893B5A_FD67_F522_41D6_451C1B0E3D32_3.label = 민장초개 photo_BF3CD91E_A414_25E3_41AD_58FA1A2CC69D.label = 민화 견월도_PS0100300300100239800000_0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11.label = 민화_호랑이 album_D4FF445A_D944_4DD8_41EA_C5F04992EF83_2.label = 밀개 photo_EB7BDCCF_FD62_1322_41E9_988C74F4D308.label = 밀양12경도_PS0100300300100055200000_0 photo_B045C4F0_A41C_675C_41D1_B76D3988EDD2.label = 밀양백중 panorama_9BB51D26_90FE_0C75_41D1_A2E3B54F2355.label = 밀양시립박물관 album_F22F4A38_FD02_7014_41E7_C86B3BB28414.label = 밀양의 충신 album_EC8C44F4_FD66_3CE6_41E2_D604DA196CE4.label = 밀양의 향오현 album_EE431714_FD66_1D25_41E7_2BCB4D4C2C67.label = 밀양의 향팔현 album_EC8C44F4_FD66_3CE6_41E2_D604DA196CE4_0.label = 밀주지_계은 이신선생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5.label = 바리형 그릇받침 album_D76630C1_D947_C528_41C7_D73E899BD3A9_2.label = 반달돌칼 photo_BF78EFEB_A477_DC21_41E3_41EF752E3BD6.label = 백범 김구 진적_PS0100300300100053000000_0 album_F33CAB88_FD0E_10F4_41ED_991DDE2E66F3_1.label = 백사모 photo_BF9069D3_A414_2460_41B7_00E3345F696D.label = 백수백복문자도_PS0100300300100217400000_0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1.label = 백자 무늬없는 사발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2.label = 백자 무늬없는 제기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12.label = 백자 청화 구름봉황무늬 접시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3.label = 백자 청화 동화 구름 학무늬 주전자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4.label = 백자 청화 모란무늬 작은항아리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5.label = 백자 청화 용무늬 술병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6.label = 백자 투각 향로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7.label = 백자 항아리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8.label = 백자청화구름봉황무늬항아리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9.label = 백자청화포도무늬단지 album_E407686D_FD66_13E6_41C3_874075D9363B_0.label = 백패 photo_B0625675_A414_2344_41C5_F91712018805.label = 법흥상원놀이 album_F2043A61_FD02_3037_41B3_CFC914F4CB40_2.label = 벽화묘 출토지석 album_1A7B94C2_0BB7_4399_41A0_F3B670400B31_2.label = 변관식 고사관폭도 album_1A7B94C2_0BB7_4399_41A0_F3B670400B31_3.label = 변관식 산수도 album_238397F8_39BC_8FAC_41C9_E422DF4A9774_2.label = 보습 album_1BA1EB4F_0B68_D6DF_41A2_C7E38D0E4EA5_3.label = 봉황문 수막새 album_F0B1F100_FD02_11F4_41DE_AB7D80D03B27_4.label = 부귀문사성보 album_EF893B5A_FD67_F522_41D6_451C1B0E3D32_5.label = 부산포진해유문서 album_F2043A61_FD02_3037_41B3_CFC914F4CB40_3.label = 북서장벽_벽화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10.label = 분청사기 박지 국화무늬 사발 photo_18AAA650_0B68_FEC0_4196_6C9B6FEDE202.label = 분청사기 박지 모란무늬 사발 photo_18AAA650_0B68_FEC0_4196_6C9B6FEDE202.label = 분청사기 박지 모란무늬 사발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12.label = 분청사기 인화 점무늬 작은사발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13.label = 분청사기 인화무늬 합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_14.label = 분청사기 철화 넝쿨무늬 병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13.label = 분청사기 풀무늬 항아리 album_D76630C1_D947_C528_41C7_D73E899BD3A9_3.label = 붉은간토기 album_238397F8_39BC_8FAC_41C9_E422DF4A9774_3.label = 빗살무늬토기 album_F0B1F100_FD02_11F4_41DE_AB7D80D03B27_5.label = 빗살무늬토기 편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6.label = 뼈단지 album_EF893B5A_FD67_F522_41D6_451C1B0E3D32_6.label = 사마방목 album_1A709170_0B6B_B2C1_4176_83E4C939BF46.label = 사명대사 album_1A709170_0B6B_B2C1_4176_83E4C939BF46_1.label = 사명대사 진영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7.label = 사발모양 그릇받침 photo_1F628C16_0B68_5240_4182_A373EBE945BC.label = 사인교 photo_1F628C16_0B68_5240_4182_A373EBE945BC.label = 사인교 album_EC9CF8D4_FC2B_7395_41C8_474455EB3A47_0.label = 삼중대광사도광리군목상 album_EC9CF8D4_FC2B_7395_41C8_474455EB3A47_1.label = 삼한벽공도 대장군목상 panorama_B9F1F4B8_917A_0589_41D4_798CC5744825.label = 상설1전시실_1 panorama_9BBB876C_90FE_3CF6_41E1_8B9DEABCD2A7.label = 상설1전시실_10 panorama_9BB508A8_90FE_147D_41C8_54D9385CD350.label = 상설1전시실_11 panorama_9BB532FD_90FE_35D6_41CD_3A75D8CB16EC.label = 상설1전시실_12 panorama_9BBAEE22_90FE_0C6D_41D7_2AB3DB0D8EE6.label = 상설1전시실_2 panorama_B47BC82A_910A_0C89_41C5_04C25943BCCA.label = 상설1전시실_3 panorama_9BBB2954_90FE_34D6_41DC_17EC39003653.label = 상설1전시실_4 panorama_B8254B1C_910E_0C89_41B0_641795A2C046.label = 상설1전시실_5 panorama_9BBB6EED_90FE_0DF6_41D6_9AFCE1964993.label = 상설1전시실_6 panorama_9BBB393B_90FE_7452_41BB_88349720838C.label = 상설1전시실_7 panorama_9BBBD363_90FE_14F2_41AC_679B5ED4A5E5.label = 상설1전시실_8 panorama_9BBB8D7A_90FE_0CD2_412C_76699F9318B8.label = 상설1전시실_9 panorama_9BB5988C_90FE_1436_41E2_045F85C03FD5.label = 상설2전시실_1 panorama_9BBEC5C5_90FA_1C36_417D_4224B8928028.label = 상설2전시실_10 panorama_9BBEEFF9_90FA_0BDE_41D3_9A4BE520BB2D.label = 상설2전시실_11 panorama_9BBE0A68_90FA_74FE_41D8_E1E3CF30B357.label = 상설2전시실_12 panorama_B806F51C_A43C_2DE0_41E1_635533492672.label = 상설2전시실_13 panorama_9BB5A2B6_90FE_7452_41D0_D743DF7640C6.label = 상설2전시실_2 panorama_9BBC99B6_90FA_1452_41E0_637C73FB2332.label = 상설2전시실_3 panorama_9BBFE3EF_90FA_3BF2_41AB_FF8E9B4B4055.label = 상설2전시실_4 panorama_9BBF1E06_90FA_0C32_41A8_AFA080E7F8ED.label = 상설2전시실_5 panorama_9BBF52EC_90FA_F5F5_41DC_2AB7A3C14C2A.label = 상설2전시실_6 panorama_9BBEAD78_90FA_0CDE_41E0_037C0D01CA4C.label = 상설2전시실_7 panorama_9BBEF1A4_90FA_3476_41D1_3025E4F37DB9.label = 상설2전시실_8 panorama_9BBEFBBD_90FA_3456_41DF_C0CBF7C01E02.label = 상설2전시실_9 panorama_9CA98ECB_90FA_0C31_41D3_AE0762D75FFB.label = 상설2전시실_입구 photo_BD7BCFBC_A415_DC20_41DC_A9C97A67F6C1.label = 석지 채용신 화조도_PS0100300300100240500000_0 album_F22F4A38_FD02_7014_41E7_C86B3BB28414_1.label = 선무원종공신록권 album_EF893B5A_FD67_F522_41D6_451C1B0E3D32.label = 선비로 살아가다 album_E407686D_FD66_13E6_41C3_874075D9363B.label = 선비로 살아가다 2 album_1B86A412_0B68_D240_419B_842AEA56B2D9.label = 선비로 살아가다 3 photo_BDED6556_A414_EC60_41E1_E7D0451349C4.label = 설봉 지운영 산수도(선면화)_PS0100300300100211000000_0 photo_B8749F23_A4FC_7C20_41DF_CE4F54D55271.label = 성호선생문집 발_PS0100300300101326600000_0 photo_BBACA855_A4FC_6460_41E2_E4F39DFCDE4E.label = 소눌선생문집 권지일_PS0100300300101005700000_0 photo_BCE2C76F_A414_EC21_41A9_120A588FA58F.label = 소림 조석진 산수도(선면화)_PS0100300300100239600000_0 photo_BD03D252_A43C_2463_41D0_FE0B97E3AA68.label = 소치 허련 묵매도_PS0100300300100210300000_0 album_EC8C44F4_FD66_3CE6_41E2_D604DA196CE4_1.label = 송계 선생 문집_목판본 album_1B36E9BF_0BB7_C5E7_41A5_AF56D93EDA56_0.label = 송시열 간찰 album_F33CAB88_FD0E_10F4_41ED_991DDE2E66F3_2.label = 수표 album_E407686D_FD66_13E6_41C3_874075D9363B_1.label = 시권 album_238397F8_39BC_8FAC_41C9_E422DF4A9774.label = 신석기 photo_BD3702D4_A434_6467_41E2_C2F0979A8880.label = 심산 노수현 금의백자_PS0100300300100181800000_0 photo_BCF6AF3A_A40C_3C23_41D5_4DEA66F2C0C4.label = 십대작가 서예 10폭 병풍_PS0100300300100052800000_0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14.label = 양기훈 조죽도 panorama_9BB45145_90FE_1436_41D1_E626E7E6C1CD.label = 어린이전시실_1 panorama_9BB45B4C_90FE_1436_41C3_F4DFED6814AA.label = 어린이전시실_2 panorama_9BB4E53D_90FE_FC56_41B1_472BED4C35C0.label = 어린이전시실_3 panorama_9BB4FFAC_90FE_0C76_41DC_1A21E4C5EBEB.label = 어린이전시실_4 panorama_9BB459E5_90FE_17F6_41C9_15A346833FE7.label = 어린이전시실_5 panorama_9BB4641E_90FE_3C52_41D7_230FB58521B2.label = 어린이전시실_6 panorama_9BB5AE56_90FE_0CD2_41BA_C773002CACAA.label = 어린이전시실_7 photo_B85D5307_A4FC_25E0_41DB_C214574AB2DE.label = 여사수지 권지 1_PS0100300300101118300000_0 album_1BA1EB4F_0B68_D6DF_41A2_C7E38D0E4EA5_4.label = 연꽃무늬 수막새 album_F0B1F100_FD02_11F4_41DE_AB7D80D03B27_6.label = 연꽃무늬 수막새 album_F0B1F100_FD02_11F4_41DE_AB7D80D03B27_7.label = 연화보상화문 수막새 album_EC8C44F4_FD66_3CE6_41E2_D604DA196CE4_2.label = 오졸재 선생 문집_목판본 album_EE431714_FD66_1D25_41E7_2BCB4D4C2C67_2.label = 오한 손기양선생 문집 photo_0588EF6A_1184_C838_41B0_B031FCAA9997.label = 옥 장신구(관옥) photo_0588EF6A_1184_C838_41B0_B031FCAA9997.label = 옥 장신구(관옥)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8.label = 옥장신구(관옥) album_1A709170_0B6B_B2C1_4176_83E4C939BF46_4.label = 용담선조유고 album_1A709170_0B6B_B2C1_4176_83E4C939BF46_2.label = 용담선조유고(사명대사 초서본) album_1A709170_0B6B_B2C1_4176_83E4C939BF46_3.label = 용담선조유고(사명대사해서본) album_1BA1EB4F_0B68_D6DF_41A2_C7E38D0E4EA5_5.label = 용두망와 photo_BFC5C987_A414_64E0_41CF_94D01825F48D.label = 용마하도_PS0100300300100213000000_0 album_1BA1EB4F_0B68_D6DF_41A2_C7E38D0E4EA5_6.label = 용무늬 암막새 album_1B86A412_0B68_D240_419B_842AEA56B2D9_5.label = 용잠 album_F0B1F100_FD02_11F4_41DE_AB7D80D03B27.label = 우리의 무늬 photo_B3B8A435_A41C_26C4_41D4_F803146D2A94.label = 원시코끼리 album_238397F8_39BC_8FAC_41C9_E422DF4A9774_4.label = 원형석도(돌칼) album_EE431714_FD66_1D25_41E7_2BCB4D4C2C67_3.label = 월연 이태선생 문집 photo_BEB7F9D9_A474_2460_41D0_977D24E3C64F.label = 위창 오세창 진적_PS0100300300100053600000_0 album_F2043A61_FD02_3037_41B3_CFC914F4CB40_4.label = 은전 photo_BD2EEBC9_A4F5_E460_41B8_A15A7E99C166.label = 이준록 책판 (하)_PS0100300300101213400000_0 photo_B275DB59_A40C_214C_41CE_ED4717542A7D.label = 익룡 album_1B36E9BF_0BB7_C5E7_41A5_AF56D93EDA56_1.label = 임경업 간찰 album_1A709170_0B6B_B2C1_4176_83E4C939BF46_5.label = 임오사마방목 photo_BCD392ED_A414_6420_41E1_F2E299124AF9.label = 임전 조정규 군어도_PS0100300300100049900000_0 album_1B86A412_0B68_D240_419B_842AEA56B2D9_6.label = 자수 쌍학 흉배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9.label = 작은항아리와 그릇받침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15.label = 장우성 국화 album_EC8C44F4_FD66_3CE6_41E2_D604DA196CE4_3.label = 점필재 선생 문집_목판본 album_D4FF445A_D944_4DD8_41EA_C5F04992EF83_3.label = 접합유물 photo_BFEB906B_A41C_2420_41E1_E0FE40D7F09F.label = 정재 최우석 어해도(하합도)_PS0100300300100181600000_0 photo_BD958978_A43C_2420_41D8_6E490A606FEC.label = 정재 최우석 화조영모도 8폭 병풍_PS0100300300100050300000_0 album_EE431714_FD66_1D25_41E7_2BCB4D4C2C67_4.label = 조경암 장문익선생 문집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16.label = 조석진 궐어도 album_1BA1EB4F_0B68_D6DF_41A2_C7E38D0E4EA5.label = 조선기와 album_1A6BDBC2_0B68_75C0_4184_CB55E31FF674.label = 조선도자 album_F33CAB88_FD0E_10F4_41ED_991DDE2E66F3.label = 조선생활의 흔적 album_1A7B94C2_0BB7_4399_41A0_F3B670400B31.label = 조선시대 서화 2 album_1B36E9BF_0BB7_C5E7_41A5_AF56D93EDA56.label = 조선시대 서화1 album_F0B1F100_FD02_11F4_41DE_AB7D80D03B27_8.label = 죽제양각매화무늬 자 album_E407686D_FD66_13E6_41C3_874075D9363B_2.label = 집단상소문(만인소) album_D4FF445A_D944_4DD8_41EA_C5F04992EF83_4.label = 찌르개 album_EF893B5A_FD67_F522_41D6_451C1B0E3D32_9.label = 창수시-109 album_1B36E9BF_0BB7_C5E7_41A5_AF56D93EDA56_2.label = 처염상정 photo_E566131E_FD6E_1522_41E4_D1F487D730F1.label = 척화비_PS0100300300100002800000_0 photo_BD210E14_A4F5_FFE0_41C3_0DBB3A8A32A1.label = 천자문 (만력정유계사)_PS0100300300101210500000_0 album_F22F4A38_FD02_7014_41E7_C86B3BB28414_2.label = 철감록 photo_BD2ECFF6_A4F5_FC23_41D0_7D8141E19A31.label = 철감록 목록_PS0100300300101216700000_0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10.label = 철광석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11.label = 철모 album_D76630C1_D947_C528_41C7_D73E899BD3A9.label = 청동기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1.label = 청동봉황무늬거울 album_F2043A61_FD02_3037_41B3_CFC914F4CB40_5.label = 청동수저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2.label = 청동합 album_F0B1F100_FD02_11F4_41DE_AB7D80D03B27_9.label = 청자 모란무늬 합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3.label = 청자 무늬없는 주전자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4.label = 청자 무늬없는 침 뱉는 그릇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5.label = 청자 무늬없는 팔각 접시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6.label = 청자 무늬없는 편병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7.label = 청자 상감 구름 국화무늬 접시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8.label = 청자 상감 국화무늬 잔과 잔 받침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9.label = 청자 상감 국화무늬 접시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17.label = 청자 상감 풀무늬 병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10.label = 청자 양각 모란무늬 접시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11.label = 청자 음각 국화 모란무늬 접시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12.label = 청자 철화 반구형 병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13.label = 청자 철화 풀무늬 반구형 병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14.label = 청자 흑상감 덩굴무늬 작은 기름병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15.label = 청자상감국화문원형접시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16.label = 청자상감국화문팔각접시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17.label = 청자상감연봉문대접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18.label = 청자상감운봉문대접 album_259D0DDB_39BC_83EC_41CC_1D6BC52EFB56_19.label = 청자연꽃무늬매병 album_EF893B5A_FD67_F522_41D6_451C1B0E3D32_10.label = 청천집 album_F33CAB88_FD0E_10F4_41ED_991DDE2E66F3_3.label = 촉도리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18.label = 최우석 경연수풍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19.label = 최우석 누에치기 album_1B36E9BF_0BB7_C5E7_41A5_AF56D93EDA56_3.label = 추사 간찰 album_EC8C44F4_FD66_3CE6_41E2_D604DA196CE4_4.label = 춘당선생문집 album_EC8C44F4_FD66_3CE6_41E2_D604DA196CE4_5.label = 춘정 변계량선생 문집 album_EF893B5A_FD67_F522_41D6_451C1B0E3D32_11.label = 칠탄정 현판 album_F33CAB88_FD0E_10F4_41ED_991DDE2E66F3_4.label = 칼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12.label = 컵형토기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label = 토기 album_1B36E9BF_0BB7_C5E7_41A5_AF56D93EDA56_4.label = 퇴계이황 진적 photo_B29BEFCC_A414_214B_41CD_805B0BECD750.label = 티라노 album_F0B1F100_FD02_11F4_41DE_AB7D80D03B27_10.label = 팔각탕건함 photo_BC30707D_A41C_6420_41E1_33D03024797B.label = 해강 김규진 진적_PS0100300300100053700000_0 album_1B36E9BF_0BB7_C5E7_41A5_AF56D93EDA56_5.label = 해공 신익희 진적 album_19064B5E_0BB1_C6A9_4179_9ECA541D567C_20.label = 허련 산수도 album_F33CAB88_FD0E_10F4_41ED_991DDE2E66F3_5.label = 호구단자 photo_BCB46CA4_A434_3C20_41CA_4C4D21D890C1.label = 호작도(호랑이와 까치 그림)_PS0100300300100216400000_0 album_F33CAB88_FD0E_10F4_41ED_991DDE2E66F3_6.label = 호패 album_F33CAB88_FD0E_10F4_41ED_991DDE2E66F3_7.label = 혼서지 album_E407686D_FD66_13E6_41C3_874075D9363B_3.label = 홍패 album_EE77FDC8_FC2D_6DFE_41D8_A7E6D4F69EDB_13.label = 화로모양 그릇받침 album_F2043A61_FD02_3037_41B3_CFC914F4CB40_6.label = 화문석 panorama_9BBDCF1C_90FA_0C55_41C7_6895968CD2CF.label = 화석전시실_1 panorama_9BBE1A2E_90FA_3475_41D3_20CB2083D556.label = 화석전시실_2 panorama_BD2634C7_A474_6745_41E2_E3ECB92066DB.label = 화석전시실_3 panorama_9BBDCEB0_90FA_0C6D_41D8_6874458396D0.label = 화석전시실_4 panorama_9BBAA8D8_90FD_F5DE_41DB_42CDBED14121.label = 화석전시실_5 album_F33CAB88_FD0E_10F4_41ED_991DDE2E66F3_8.label = 화회문기 ## Popup ### Body htmlText_B3DED220_A414_E2FC_41E1_244C3880F9C9.html =
<곤충>
중생대 곤충류는 전 지질시대를 통해 매우 복잡한 형태로 진화했다. 곤충류는 고생대에 이어 중생대에도 번성했고 백악기에 살았던 곤충류는 현재까지도 존재한다. 곤충류 화석은 기어 다니거나, 구멍을 뚫고 들어 가거나, 헤엄치는 등의 다양한 모습이 발견되기 때문에 고대 생태학을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가치가 있다.
htmlText_B0BC8197_A41C_61C4_41DE_7E043E2166E4.html =
<감내 게줄당기기>
마을 중심을 흐르는 감내(甘川)는 화악산(華嶽山)에서 발원한 부북천의 하류로, 감내들을 지나 밀양강으로 합류하는 개천이다. 이웃마을 제대리(堤大里)에서 김종직(金宗直)이 태어날 때 냇물맛이 달다 하여 감천이라는 지명이 생겼는데, 이 감천을 식수로 사용했던 당시에는 물맛이 좋기로 유명했다.
이 감천에 예부터 게가 많이 잡혔는데, 주민들은 서로 좋은 목을 차지하려다 보니 자연히 인심이 거칠어졌다. 그러자 마을어른들은 게줄당기기 시합을 하여 그 결과로 구역을 할당하기로 했다. 그후부터 마을 사람끼리 반목하는 폐단이 사라졌다. 게의 생산이 줄어들면서 놀이는 한동안 중단되었다가 근대 이후에 부활되어 정월 보름과 7월 백중날 등의 농한기에 하게 되었다. 농한기때 보를 고치는 일이나 농토를 고르는 일 등의 노동력(일감)을 걸고 이 놀이를 하기도 한다.
htmlText_B05AF967_A41C_2144_41D5_AE58E3B0537B.html =
<무안 용호놀이>
무안 용호놀이는 무안면 무안리에서 옛날부터 전승되어온 대중적 민속놀이로 음력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줄다리기에 앞서 전개된 놀이에서 유래가 되었다.
동부의‘용촌(龍村)’과 서부의 ‘호촌(虎村)이 힘을 겨루던 놀이로, 용과 호랑이 분장이나 오방신장(五方神將)을 비롯한 오광대놀이의 가면등이 특이 하며 모두 여섯마당으로 구성된다.
htmlText_B16CB942_A41C_2EBF_41BC_928EFDB29A7F.html =
<밀양 백중놀이>
밀양 백중놀이는 백중을 전후하여 농사일을 한고비 넘기고 난 뒤 마을사람들과 한데 어울려 풍장을 치며 풍년 들기를 비는 고사와 위안잔치로 구성되는 한판의 축제마당이다.
잡귀막이굿과 농신제로 이루어지는 유교식의 마을동제가 행해진 후, 본놀이로 작두말타기, 양반춤, 병신춤, 범부춤, 오북춤 등의 춤판이 벌어지고 뒤이어 마지막엔 이 놀이에 참가한 모든 구경꾼과 놀이꾼이 함께 어울려 신명 속으로 빠져드는 놀이 마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htmlText_B0B79B95_A417_E1C4_41CE_B3A37C1C74BD.html =
<법흥상원놀이>
법흥 상원놀이는 단장면 법흥마을에서 오래전부터 전해오는 세시풍속놀이의 하나로 매년 정월 대보름에 온 마을사람들이 당산나무앞 넓은 마당에 모여 해뜨기 전에 신북(神敲)를 울려 안녕과 풍년을 비는 당산제, 집집마다 도는 지신밟기, 갓 장가든 신랑을 다루며 노는 신랑다루기, 장작으로 만든 윷을 한사람이 하나씩 들고 던지며 노는 장작윷놀이, 다리밟기와 달집태우기, 콩볶기, 판굿등으로 진행되는데 춤과 노래를 곁들이며 온 마을사람들이 참여하여 화합 한마당을 이뤄내는 전통 민속놀이이다.
htmlText_BCA886A6_A40C_2C23_41D8_43F59234BAD7.html =
<십대작가 서예병풍>
이는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 여초(如初) 김응현(金應顯)과 함께 서예가 3형제로 유명했던 백아(白牙) 김창현(金彰顯, 1924-1991) 선생을 위해 근대의 서화가(書畵家), 교육가(敎育家), 정치가(政治家)등 명인들이 출품한 작품을 10폭의 병풍으로 만든 것이다.
이 작품에는 오세창(吳世昌), 김태석(金台錫), 윤용구(尹用求), 유창환(兪昌煥), 하동주(河東州), 최규상(崔圭祥), 서병오(徐丙五), 서병두(徐丙斗), 현채(玄采) 등이 참여하였다.
htmlText_BFF741BD_A414_6420_41D9_08B0568C59E2.html =
<견월도>
개와 달을 그린 민화.
htmlText_BF98AEE1_A415_DC20_41B8_5E34FC3F8E11.html =
<군어도>
임전 조정규는 조선 후기에 활약한 화원 출신의 직업작가로 서화의 대가였던 조석진의 조부이기도 하며 그는 어해도에 능했다. 이 그림은 구륙법으로 그려진 여러마리의 물고기가 자유롭게 노니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물이 보이지 않는 수초 위에 그려진 물고기 그림이지만 마치 물속에서 자유롭게 노닐고 있는 것 처럼 표현하였다. 물고기는 있으나 물은 없는 것이 그의 그림의 특징이기도 하다.
htmlText_B271626B_A413_E34C_41DD_EFB63AD681A1.html =
<극피동물>
중생대 대표 극피동물은 바다나리류 이다. 바다나리류는 고생대에 처음 등장했다. 바다나리류는 줄기가 있는 종과 없는 종으로 구분하며, 중생대 동안 줄기가 있는 종이 우세했다. 줄기가 없는 종은 중생대 후기에 등장하여, 중생대 말에 있었던 대멸절 이후에 우세종이 됐다. 이와 함께 성게류(Echinoids)도 화석으로 많이 산출된다.
htmlText_BC0E84BB_A435_EC20_4196_8EBA267665AF.html =
<묵매>
소치 허련은 조선 후기의 서화가이자, 추사 김정희의 제자로 글, 그림, 글씨에 모두 능하여 삼절이라 불렸다. 이 작품은 매화의 굵은 줄기가 화면의 우측에서 좌측 하단으로 역동적으로 뻗어 나가고 잔가지들에는 봄기운을 가득 담은 매화가 피어나고 있다.
htmlText_EBC957A8_FD62_1D6D_41CA_9631756D57B0.html =
<밀양 12경도>
임진왜란 이전 금시당을 중심으로 한 당시 밀양의 주요 명소를 그린 것이다. 내용은 금시당-취록춘화, 용두산-용벽동황, 무봉사-봉암고종, 마암산-마암묘우, 월연정-연대제월, 승벌마을-사당취연, 영남루-남루화동, 내일동-서성효각, 남포리-이연어화, 활성동-율림낙엽, 암새들-백석간양, 암새들-청교목우 등 12폭으로 되어있다.
htmlText_BEF015F9_A414_6C20_417E_82FA8F3655EE.html =
<백수백복문자도>
장수와 복을 기원하기 위해 '壽'·'福' 두 글자를 다양하게 도안한 그림. 한 폭(전체: 세로 143.6, 가로 33.9)씩 종이에 배접한 형태임. 견본채색(絹本彩色). 황색 바탕에 한 폭당 3열 14행씩, 총 420자의 수복(壽福) 글씨를 다양한 서체로 표현함. 각 폭의 글자는 붉은색·녹색·파란색 등으로 반복하여 채색됨.
htmlText_BD82A794_A414_ECE0_41E2_BA5F148AE853.html =
<소림 조석진 산수도(선면화)>
소림 조석진은 조선말기와 일제 강점시의 화가이며, 본관은 함안 황해도 웅진 출신이다. 오원 장승업의 제자이며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도화서 화원으로 산수화와 어해화를 잘 그렸던 할아버지 조정규 밑에서 학문과 그림을 배워 명성을 떨쳤다. 산수,인물,화조,기명,절지,어해에 이르기까지 모두 뛰어났다. 1902년 심전 안중신과 함께 화사로 선발되어 고종의 초상화를 그렸다. 만년에 후진 육성에 힘썼고, 서화미술원과 서화협회의 창립 발기인으로 활동하였다.
<백련 지운영 산수도(선면화)>
백련 지운영은 조선말기와 일제강점시의 화가이다. 우국지사, 유교,불교, 선교에 통달하였고 예술에도 정진하여 시,서,화의 삼절로 불렸다. 갑신정변 후 김옥균을 암살하기 위해 일본에 건너갔다가 일본경찰에 붙잡혀 강제귀국당하여 원악지로 유배당하였다. 특히 인물을 잘 그렸으며, 화풍은 대체로 중국풍이 짙은 북종, 원체적인 경향을 띠고 있으며, 인물과 산수를 적절히 배치하는 구성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htmlText_B2C94B26_A41C_22C4_41D1_857FA230D0FE.html =
<속씨 식물>
신생대는 속씨식물의 시대이다. 속씨식물은 중생대 말과 신생대 초기를 거치면서 식물계의 지배종이 됐다. 너도밤나무, 오크, 단풍나무, 목련 등의 속씨식물 화석이 백악기 말 지층에서는 발견됐고, 이 식물들은 신생대 초기 우세종이 됐다. 초식 동물의 먹이가 되는 풀은 대표 속씨식물로 마이오세말경부터 큰 발전을 이루었다. 현존하는 속씨 식물은 약 30만 종에 이르고 식물계의 약 90%가 속씨식물이다.
htmlText_B19D5AA8_A47C_23CC_41D4_C4D007C533A7.html =
<스트로마톨라이트>
가장 오래된 화석이 바로 호주 서부의 35억년 전 지층에서 발견된 이 남세균 화석이다. 지금도 호주 서부의 샤크만(Shark Bay)이나 바하마 제도에서 볼 수 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광합성 활동 중인 남세균 매트의 끈끈한 석회질 성분에 물에 떠다니던 가는 모래 입자들이 포획되어 층층이 쌓여 자라난 생물기원의 퇴적 구조이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퇴적 환경에 따라 기둥 모양, 돔 모양, 원뿔 모양, 판상 모양 등으로 성장하는데, 35억년 전 이후의 선캄브리아대(지구 탄생~5억 4200만년 전까지의 지질시대) 지층에서 세계적으로 흔히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당시 남세균들이 활발히 활동하며 지구에 산소를 공급했다고 볼 수 있다.
htmlText_B1FBBB01_A474_62BD_41D1_AFD16EE9D40A.html =
<식물>
고생대 중기에서 후기를 거치며 생물의 생활환경이 바다에서 육지로 확장되었다.
육상생물의 번성과 더불어 대삼림을 이루는 인목(Lepidodendron)과 석송류(lycopsids)와 같은 대형식물이 출현했으며 크기는 30여미터에 달했다. 또한 양치식물과 유절류(Calamites)등 습지식물도 번성했다.
htmlText_BD5FC02F_A43C_E421_41B0_2F6690426217.html =
<심산 노수현 금의백자>
이 작품에 그려진 석류와 꾀꼬리는 전통문양의 상징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어른의 생신을 축하하며 그린 그림이다. 일반적으로 석류는 다산과 다남을 상징하고 또한 보물주머니 형상이라 하여 부귀를 상징하기도 한다. 우측에는 금의백자라 적혀있는데 이와 함께 꾀꼬리를 그리면 자손의 출세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htmlText_B2EA0D14_A40C_26DB_41DF_A1B2AE474651.html =
<어류>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원시어류가 등장했다. 원시어류는 척추동물의 시초이며 데본기에 이르러 상어류와 갑주어류, 경골어류로 진화했다. 데본기는 어류의 번성이 가장 뚜렷하여 어류의 시대라고 부른다.
htmlText_B3FB8A8E_A40C_63C7_41DC_121CA0439BF7.html =
<어류>
어류는 지구상에 등장한 최초의 척추동물이다.
어류는 크게 판피어류, 연골어류, 경골어류, 극어류로 나뉘는데, 이중 판피어류와 극어류는 멸종했다. 경골어류는 고생대에 출연하여 데본기부터 중생대 백악기에 번성했다. 연골 어류는 고생대 데본기에 출현하여 중생대에 이르러 발전했다.
htmlText_BAC35E9E_A4FC_DCE0_41E2_7CDABDAE9418.html =
<여사수지 책판(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여사수지(女士須知)는 소눌(小訥) 노상직(盧相稷, 1855-1931) 선생이 편찬(編纂)한 것으로, 목판 서(序)에 있는‘기축맹춘눌인노상직서(己丑孟春訥人盧相稷書)’와 여사수지권지일(女士須知卷之一)에 ‘정미맹춘자암장판(丁未孟春紫巖藏板)’이라 판각되어 있는 것을 볼 때 기축년(1889년)에 필사하고 정미년(1907년)에 판각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여성교육용으로 간행한 교과서 중에 한글과 한문을 함께 병용한 최초의 사례로 알려져 있는 이 책은 소학에서 가져온 내용과 조선의 아름다운 행동을 한 여성의 이야기를 묶어 만든 것으로, 애국 계몽기에 가치관의 혼돈을 막기 위한 여성 수신용(修身用)책이라 할 수 있다.
<소눌선생문집 책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이 책판은 소눌(小訥) 노상직(盧相稷, 1855-1931)이 1913년 망명지인 만주에서 돌아와 1931년 일생을 마칠 때까지 18년 동안 저술한 많은 서적의 판본을 모은 것으로, 48권(卷)24책(冊)이나 되는 방대한 분량이다.
이는 그의 사후(死後)인 1932년에 밀양 노곡에서 문인들에 의해 간행된 것으로 내용은 시(詩), 서(書), 임금에게 상소한 내용인 소(疏), 잡저(雜著), 책의 앞에 적은 서(序), 발문(跋文), 비문에 새긴 글인 명(銘), 집을 지을 때 지은 상량문(上梁文), 축문(祝文), 제문(祭文), 행장(行狀), 연보(年譜)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htmlText_B1A59768_A474_614C_41E0_AE159CCC7B88.html =
<연체/강장동물>
고생대 지층에서는 이매패류,고둥,앵무조개와 같은 연체동물화석과 해파리와 같은 강장동물화석이 발견되었다. 연체동물과 강장동물의 화석을 통해 당시 바다의 환경을 알 수 있는데, 고생대에는 따뜻한 바다환경을 지시하는 사방산호(Tetracorallia)가 번성했다.
나우틸로이드(Nautiloid)에 속하는 두족류 화석과 현생의 소라류와 같은 모양의 복족류 화석등이 발견되며, 이매패류(부족류)를 닮은 완족류 화석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htmlText_B2E38032_A414_3EDF_41E2_4635764B265F.html =
<연체동물>
중생대 대표 연체동물은 암모나이트와 벨렘나이트이다.암모나이트는 트라이아스기에 처음 등장하여 백악기 말에 멸종했다. 벨렘나이트는 고생대 석탄기에 원시형태로 등장하여 중생대 트라이아스기를 거쳐 쥐라기와 백악기에 번성했고 신생대 에오세까지 존재했다. 이 외에도 중생대에는 산호류, 부족류, 복족류, 갑각류 등이 번성했다.
htmlText_BCBB3D23_A41C_3C20_41DD_ADB8DE8EBD1E.html =
<용마하도>
삼황오제, 복희씨 때 황하가엥 나타난 용마의 등에 그려져 있었다는 그림이다. 훗날 우 임금이 홍수를 다스릴 때 낙수에 나타난 거북이 등에 쓰여져 있었다는 낙서와 결부되어 주역의 원리가 되었다.
htmlText_B22AAB5E_A414_6144_41D0_E165769AAA52.html =
<원시 코끼리>
신생대 마이오세와 플라이오세 때 생존했던 코끼리의 조상이다. '프리멜레파스'라는 이름은 '첫번째 코끼리'라는 뜻이다. 이 원시 코끼리는 매머드의 조상으로도 추정된다. 현재의 코끼리와는 조금 다르게 4개의 엄니를 가지고 있다. 아프리카 숲에서 살았다.
htmlText_B200C979_A414_614D_41E3_36E788BE7C2A.html =
<육식공룡>
중생대 육식공룡은 용반류 가운데 수각류 공룡에 속한다. 먹이를 잡거나 물어뜯기 위한 턱과 이빨구조, 포획에 필요한 팔과 발톱, 힘센 다리 등이 특징이다.
htmlText_B2AF5E3E_A414_22C7_41DC_B7A6BA36DF75.html =
<익룡>
중생대 익룡은 중생대에 출현한 하늘을 나는 파충류로 속이 빈 뼈, 긴 목, 짧은 몸통, 긴 뒷다리, 작은 골반 그리고 피부막 날개로 변한 앞 발 등이 특징이다. 쥐라기 시대의 람포린쿠스(Rhamphorhynchus)와 길이가 12m에 달하는 후기 백악기의 케찰코아틀루스(Quetzalcoatlus)가 대표 익룡이다.
htmlText_B395DB00_A41C_62BB_41E0_73E4E2C83B4B.html =
<인류의 출현>
포유류는 신생대 초에 곤충을 먹이로 하고 생김새가 쥐와 비슷한 동물에서 진화했다.
영장류의 시초는 마이오세에 나타난 라마피테쿠스(Ramapithecus)로 손과 발이 발달하고 원숭이의 생김새와 비슷했다. 유인원은 드리오피테쿠스(Dryopithecus)라는 선조로부터 시작되었다. 인류의 선조는 플라이스 토세의 호모사피엔스(Homosapiens)이다.
htmlText_B219826B_A40C_234D_4194_0392B6BDCCB9.html =
<절지동물>
고생대를 대표하는 절지동물은 삼엽충이다. 고생대 중기에는 바다전갈류가 출현했고, 데본기에는 곤충이 처음 출현했다. 고생대 후기에는 육상에서 삼림의 번성과 더불어 여러 종류의 곤충이 서식했다.
htmlText_B27E25F5_A414_2145_41C7_D3C98B75792B.html =
<절지동물>
현존하는 동물의 약 80%는 절지동물문에 속한다. 절지동물은 고생대 초기에 처음 등장하여 중생대에도 번성했다. 쥐라기와 백악기 지층에서는 많은 수의 거미 화석이 발견된다. 백악기 초기에 흰개미와 개미가 최초로 등장했다. 중생대의 절지동물 중 현존하는 동물로 새우나 가재 등의 갑각류가 있다.
htmlText_BC39C9AE_A41C_E420_41CA_B8C5199174E6.html =
<정재 최우석 어해도(하합도)>
정재 최우석은 동양화가. 근대 6대 화가 중의 한 사람이다. 1915년 서화미술회 강습소에 들어가 안중식, 조석진에게 전통화법을 배웠다. 그의 초창기 풍경화나 인물 주제의 작품들은 일본화적 채색화라는 비판도 받았으나, 그 뒤 전통적 수묵담채화의 관념적 작품으로 되돌아와 주로 산수화와 신선도 그리고 인물화 등을 그렸다.
htmlText_BCD97B3E_A43D_E420_41BC_008EE2A17666.html =
<정재 화조영모 병풍>
정재 최우석(鼎齋 崔禹錫, 1899-1965)의 작품으로, 그는 주로 전통적인 필치의 수묵담채와 인물화(人物畵), 기명절지화(器皿折枝畵) 및 화조화, 영모화 등을 잘 그렸으며, 광복 후부터 1961년까지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추천작가와 심사위원 등을 지냈다.
이 그림은 8폭으로 각 폭마다 소나무, 학, 매, 말, 기러기 등을 그려 칠순을 맞이한 노부부의 장수, 편안한 노후, 그리고 가정이 화목한 가운데 슬하의 많은 자손들 또한 모두 훌륭하게 되기를 축원하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htmlText_B2CE6D4B_A414_614C_41DF_1E3775BBEAEE.html =
<중생대 식물>
중생대는 겉씨식물의 시대이다. 대표되는 겉씨식물로 은해안무, 소철류, 소나무류 등이 번성했다. 고생대에 번성했떤 양치 식물이 중생대에도 여전히 번성했다. 원시 형태의 속씨식물이 처음 등장한 시기는 트라이아스기이다. 가장 오래된 속씨식물 화석은 이탈리아와 이스라일에 있는 백악기 초기 지층(1억 4천만 년 전 ~ 1억 3천 3백만년 전)에서 발견되었다.
htmlText_BA8F26E7_A4F4_EC20_41D7_EB50C4BBABEB.html =
<천자문 책판(위)>
조선 중기 서예가 한호(韓濩, 1543~1605)가 엮었다. 자(字)는 경홍(景洪), 호(號)는 석봉(石峯), 청사(淸沙)이다. 본관(本貫)은 삼화(三和)이다.
1567년 진사시에 합격, 천거되어 사어(司禦), 가평군수, 협곡현령, 존숭도감 서사관 등을 지냈다.
어려서부터 서예에 정진하여, 王蓍之(왕시지), 顔眞卿(안진경)의 필법을 익혔고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 등에 능하여 명(明)나라에까지 이름을 떨쳤다.
안평대군(安平大君), 김구(金絿), 양사언(楊士彦)과 함께 조선초 4대 서예가로 꼽힌다. 간기(刊記:萬曆丁酉季社)와 소장처(所藏處:丁未孟夏蘆谷藏板)가 각인(刻印) 되어 있다.
<성호선생문집 책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조선 후기 실학을 크게 융성시킨 대학자 성호(星湖)이익(李瀷, 1681-1763)의 문집으로 1890년고종 27 수당(修堂)이남규(李南珪)와 물헌(勿軒)이명익(李明翊)이 27책으로 선정(選定), 편집한 것이다.
이 27책본의 판본 간행은 1916년에 소눌(小訥)노상직(盧相稷), 성헌(省軒)이병희(李炳憙) 등이 퇴로의 서고정사(西皐精舍)에서 문집간행 결의 후 그 이듬해인 1917년 정월 11일 개판(開板)하여 그 해 4월 8일 완성, 간행된 것으로 심재(深齋)조긍섭(曺兢燮), 물와(勿窩)김상욱(金相頊)등 당대의 학자들이 초고(草稿)의 교정(校正)을 보았고, 서수(書手) 7명, 각수(刻手) 30여명이 동원되어 제작되었다.
htmlText_BAE5AD2F_A4FC_3C20_41AD_9540F07FD804.html =
<철감록 책판(위)>
이 문집은 여주 이씨 문중의 후손인 이지운(李之雲, 1681-1763)이 문중의 주요 인물 9인에 대한 유고(遺稿)와 실기(實紀)를 합편하여 간행한 것이다.
여기에는 고려말 문신이며 학자인 기우자(騎牛子) 이행(李行)과 월연(月淵) 이태, 금시당(今是堂) 이광진(李光軫)등 여주 이씨 문중의 인물에 대한 내용이 5권(卷)2책(冊)의 문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卷頭)에 이지운의 서(序)와 남경의(南景義)의 발(跋)이 있고, 권1에는 기우자 이행의 유고(遺稿), 권2에는 제학공(提學公), 진사공(進士公) 등의 유고와 유적(遺蹟), 권3에는 월연(月淵)선생과 생원공(生員公)의 유고, 유적, 권4에는 금시당 선생의 유고, 권5에는 근재선생실기(謹齋先生實紀)가 있으며 총 목판의 수량은 67매이다.
<이준록 책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75호
이존록은 점필재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이 1458년(戊寅) 부친인 강호(江湖) 김숙자(金淑滋, 1389-1456)의 보도(譜圖)와 기년(紀年), 사우(師友) 간의 종유(從遊), 제의(祭儀), 가훈(家訓) 등의 본받을 만한 것들을 차례로 편찬하고, 또 외조(外祖) 박공전(朴公傳) 및 선부인(先夫人)의 행장(行狀)을 첨부하여 한 질(帙)로 만든 것이다.
1497년(연산군 3)에 상 · 하 양권 1책(冊)으로 발간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 타 없어졌으며, 이후 1709년(己丑)에 문집은 방백(方伯) 이공만(李公曼)이 다시 간행 반포하였고, 1892년 예림서원(禮林書院)에서 『이존록』을 중간(重刊)하였는데, 이 판본이 당시의 것으로 추정되며 목판의 수량은 44매이다.
htmlText_BDFBA51B_A414_2DE0_41D5_B07A94B94156.html =
<해강 김규진 진적>
해강 김규진은 조선말기의 서화가로 일찍이 청에서 유학하였으며 예서, 행서 등 각 서체를 두루 섭렵하였으며, 영친왕의 서예 스승이 되었다. 그림은 산수, 화훼, 인물 등 그 소재가 다양하였으며 특히 묵죽과 산수 화조를 잘 그렸다. 이 작품의 내용은 '계해년 가을에 남도를 지나다가 박재복이라는 사람이 글을 부탁하여 한 줄 쓰다'로 풀이된다.
htmlText_B2DA6B2F_A414_62C5_41E0_7DA4F024D66B.html =
<해양파충류>
중생대 해양파충류는 어룡(Ichthyosauria), 수장룡(Plesiosauria), 모사사우루스류(Mosasaurus), 바다악어(Steneosaurus) 등을 포함한다.
htmlText_BC6E252A_A434_6C23_41D7_110870B9BB3B.html =
<호작도(호랑이와 까치그림)>
민화에서 나타나는 호랑이의 초기 모습은 표범이다. 표범의 표는 보와 발음이 유사하고 까치는 기쁜 소식을 전해주는 희조로 소나무는 한 해를 상징하기도 한다.
htmlText_BD3FCFE7_A41C_3C20_41DB_09D0AE776F2A.html =
<화조도>
석지 채용신은 어려서부터 그림에 재주가 뛰어났으며 흥선대원군의 초상을 그리기도 했다. 조선시대 전통 양식을 따른 마지막 인물화가로 전통 초상화 기법을 계승하면서도 서양화법과 근대사진술의 영향을 받아 '채석지 필법'이라는 독특한 화풍을 개척했다. 이 화조도는 민화적인 형식을 띄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극세필의 섬세하고 화려한 필치로 묘사되었다. 주로 초상화가로 많이 알려진 탓에 그가 그린 화조도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상황이다.
htmlText_BF1E5275_A474_2420_41D6_0D29DCC28C27.html =
백범 김구(白凡 金九, 1876-1949)는 독립운동가, 정치가, 임시정부 주석을 지냈으며, 광복 후 한독당의 당수를 역임했다.
여의(如意)는 ‘모든 것이 뜻하는 대로 이루어지다’라는 뜻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원래 뿔이나 대나무 등을 사람의 손 모양으로 만들어 신체의 가려운 부분을 긁는 데 사용했던 도구였다.
이 작품은 선생의 73세 되시던 해(1948년)의 것이다.
htmlText_BFC0EC0E_A474_23E0_41D7_FBBDBA853BE2.html =
오세창(葦滄 吳世昌, 1864-1953)은 근대를 대표하는 서예가, 전각가(篆刻家), 서화사(書畵史) 연구자, 언론인,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전서(篆書) · 예서(隸書) · 문자학(文字學) 등에 통달하였으며, 전각(篆刻)분야에 독보적인 경지를 이루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 서화계(書畵界)의 정신적 지도자로, 광복 직후에는 민족대표의 상징적 인물로 추앙 받았으며, 편저(編著)로는 근역서휘(槿域書彙), 근역화휘(槿域畵彙), 근묵(槿墨), 근역인수(槿域印藪),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등이 있다.
진적에는 `청영요풍(淸影搖風)` 이라는 글귀가 적혀있다.
htmlText_E586C646_FD6E_1F25_41EB_5E9990A637F1.html =
밀양시 내이동 밀양읍성 북문지에서 발견된 것으로, 비문이 있는 전면은 양호하나 비신 후면 일부가 결실되었다.
## Skin ### Button Button_1B9A4D00_16C4_0505_4193_E0EA69B0CBB0.label = 상설 2전시실 Button_1B999D00_16C4_0505_41AB_D0C2E7857448_mobile.label = 상설1전시실 Button_1B999D00_16C4_0505_41AB_D0C2E7857448.label = 상설1전시실 Button_1B9A4D00_16C4_0505_4193_E0EA69B0CBB0_mobile.label = 상설2전시실 Button_1B9A5D00_16C4_0505_41B0_D18F25F377C4_mobile.label = 어린이전시실 Button_1B9A5D00_16C4_0505_41B0_D18F25F377C4.label = 어린이전시실 Button_1B998D00_16C4_0505_41AD_67CAA4AAEFE0.label = 처음으로 Button_1B998D00_16C4_0505_41AD_67CAA4AAEFE0_mobile.label = 처음으로 Button_A4858DD7_AA0C_9D75_41D8_E19F6C8EBC3D_mobile.label = 파노라마 리스트 Button_A9DF681E_A6C7_6162_41D1_415D12900112.label = 파노라마 리스트 Button_1B9A6D00_16C4_0505_4197_F2108627CC98_mobile.label = 화석전시실 Button_1B9A6D00_16C4_0505_4197_F2108627CC98.label = 화석전시실 ### Image Image_1B99DD00_16C4_0505_41B3_51F09727447A.url = skin/Image_1B99DD00_16C4_0505_41B3_51F09727447A_ko.png Image_1B99DD00_16C4_0505_41B3_51F09727447A_mobile.url = skin/Image_1B99DD00_16C4_0505_41B3_51F09727447A_mobile_ko.png ### Label Label_0DD14F09_1744_0507_41AA_D8475423214A.text = 밀양시립박물관 Label_0DD14F09_1744_0507_41AA_D8475423214A_mobile.text = 밀양시립박물관 Label_B7503EF4_A6C1_3EA6_41E0_B6DB6B44AA1B.text = 파노라마 리스트 ### Multiline Text HTMLText_A518BC89_AA13_83DD_41A2_2F568329056B.html =
___
파노라마 리스트
### Tooltip IconButton_8D82F9BE_9106_1452_41CD_45AF1B792352.toolTip = Fullscreen ## Tour ### Description ### Title tour.name = 밀양시립박물관